아파트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면적입니다. 하지만 같은 평형(예: 34평)이라도 실제 내부 공간이 다르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 이는 아파트 면적을 계산하는 방식이 다양하기 때문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전용면적, 공급면적, 공용면적 등 아파트 면적의 개념을 정리하고, 어떤 기준으로 아파트 크기를 비교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1. 전용면적이란?
전용면적은 개별 세대가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의 면적을 의미합니다. 쉽게 말해, 내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전용면적입니다.
✅ 포함되는 공간
- 거실
- 방
- 주방
- 화장실
❌ 제외되는 공간
- 발코니(서비스면적)
- 복도, 계단, 엘리베이터(공용면적)
아파트에서 현관문을 열고 들어갔을 때 보이는 공간의 전체 면적이 전용면적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TIP: 새 아파트를 분양할 때는 공급면적이 아닌 전용면적 기준으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,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비교하는 것이 좋습니다.
특히 힐 스테이트나 더 샵 아파트 같은 고급 아파트는 전용면적 활용이 뛰어나며, 실거주 공간이 넓다는 점에서 인기가 높습니다.
2. 공급면적과 공용면적
아파트 크기를 나타낼 때 가장 흔히 사용되는 개념은 공급면적입니다. 공급면적은 전용면적 + 공용면적을 합한 면적입니다.
✅ 공용면적이란?
- 같은 건물에 사는 세대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의 면적
- 대표적으로 복도, 계단, 엘리베이터, 공용 현관 등이 포함됨
예를 들어, 84㎡(약 25평) 아파트라고 할 때, 실제로 거주하는 공간(전용면적)은 약 59㎡(약 18평) 정도이고, 나머지는 공용면적으로 계산됩니다.
📌 공용면적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음
- 주거공용면적: 같은 층에 있는 세대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면적 (예: 복도, 계단)
- 기타공용면적: 단지 내 관리사무소, 노인정, 주차장 등 아파트 단지 전체에서 공용으로 쓰이는 공간
이렇게 공급면적에 따라 평형이 달라지기 때문에, 같은 34평형 아파트라도 내부 실사용 공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.
3. 서비스면적과 전용률
🔹 서비스면적이란?
서비스면적은 전용면적에 포함되지 않지만, 거주자가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. 대표적인 예는 발코니입니다. 34평 베란다 확장 여부에 따라 내부 공간이 훨씬 넓어질 수도 있죠.
📌 서비스면적을 포함하면 실내 면적이 증가
- 발코니 확장을 하면 거실과 방이 넓어짐
- 같은 평형이라도 확장 여부에 따라 내부 공간 차이가 남
특히 쌍용 아파트처럼 34평 도배와 인테리어를 고려할 때, 서비스면적을 얼마나 활용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.
🔹 전용률이란?
전용률 = (전용면적 ÷ 공급면적) × 100
- 아파트 내부에서 실제로 거주하는 면적의 비율
- 일반적으로 아파트 전용률은 70~80% 수준
전용률이 높을수록 실사용 면적이 넓은 아파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. 같은 84㎡ 아파트라도 전용률이 높은 곳이 내부 공간이 넓고 실용적입니다.
4. 1998년 이후, 면적 산정 기준 변화
과거에는 아파트 전용면적을 계산할 때, 벽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한 중심선치수를 사용했습니다. 하지만 1998년 이후부터는 안목치수(눈으로 보이는 벽 사이의 거리) 기준으로 변경되었습니다.
✅ 변경 후 전용면적 증가
- 59㎡ → 평균 5.6㎡ 증가
- 84㎡ → 평균 6.7㎡ 증가
- 약 10% 증가 효과 발생
즉, 같은 전용면적의 아파트라도 1998년 이후에 지어진 아파트가 내부 공간이 더 넓은 이유가 바로 면적 산정 방식의 차이 때문입니다.
5. 아파트 선택 시 면적 비교하는 방법
아파트를 선택할 때 공급면적만 보고 크기를 판단하면 오해할 수 있습니다. 내부 실사용 공간을 고려하려면 반드시 전용면적과 전용률을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.
🔹 아파트 면적 비교할 때 체크할 것
✅ 전용면적 기준으로 비교
✅ 전용률이 높은 곳이 실사용 공간이 넓음
✅ 발코니 확장 여부에 따라 공간 차이 큼
✅ 민간 임대 아파트 여부 확인
특히 새 아파트 분양을 고려할 때는 공급면적이 아닌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크기를 따지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✅ 정리: 아파트 면적 개념 한눈에 보기
면적 구분 포함되는 공간 특징
전용면적 | 거실, 방, 주방, 화장실 | 실제로 거주자가 사용하는 공간 |
공급면적 | 전용면적 + 공용면적 | 아파트 크기를 표시할 때 흔히 사용됨 |
공용면적 | 복도, 계단, 엘리베이터 | 세대 간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 |
서비스면적 | 발코니, 다용도실 | 확장 여부에 따라 실사용 공간 차이 발생 |
전용률 | (전용면적 ÷ 공급면적) | 높을수록 내부 실사용 면적이 넓음 |
아파트를 선택할 때 단순히 "몇 평형"인지 보는 것이 아니라 전용면적, 공용면적, 전용률까지 꼼꼼하게 체크해야 합니다. 이 내용을 참고해서 내게 맞는 실용적인 아파트를 선택하세요!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파트 면적과 발코니 확장,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(1) | 2025.02.09 |
---|---|
부동산 투자, 이제는 대출 만기보다 금리가 더 중요하다? | 부동산 투자 전략 짜기 (7) | 2024.09.08 |
아파트 임장 필수 체크리스트 | 최다 항목, 최대 노하우 (14) | 2024.08.31 |
부동산 주택공급대책 250만호 '주요 내용 윤정부 발표' (0) | 2022.08.08 |
윤석렬 새 정부 부동산 정책 핵심 요약 (0) | 2022.06.15 |